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원주시 보행교통 지킴이(회장 이종택)는 지난 20일 오전에 보행교통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보행교통 지킴이, 원주경찰서와 함께 진행된 캠페인에는 약 2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출근시간 유동 인구가 많은 원주의료원 사거리 인근에서 진행되었다. 캠페인 동안 운전자의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 보행자 횡단보도 횡단 ...
|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명륜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위원장 황성환, 김종성) 2023년 명륜1동 저소득 독거 어르신의 병원 동행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병원 동행 서비스는 저소득 독거 어르신의 의료기관 이용 시 복지 차량 지원을 통해 편의를 제공하고, 이동시간 동안 대화를 통해 어르신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드리는 사업이다. 말벗 병원 동행 서...
|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단구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이정우, 최민식)와 원주사랑로타리클럽(대표 김용임)은 지난 20일 단구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우리동네 행복동행 나눔 봉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월부터 단구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서는 단구동 관내 경로당을 방문하여 이·미용봉사를, 원주사랑로타리클럽에서는 청춘사진촬영 봉사를 함께 추진하여 ...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원주시 신림면 성남2리 농촌체험휴양마을인 ‘성황림 마을’(이장 민억기)이 오는 22일 오후 2시 혁신도시 공공기관 초청행사를 개최한다. 오는 4~5월 한정적으로 일반인 개방 행사를 앞두고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 원주혁신도시 1기관 1촌 자매마을인 대한석탄공사와 관광분야 공공기관인 한국관광공사 및 국립공원공단을 초청했으...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강릉시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대응하는 동시에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상공인 점포 환경개선 지원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지원범위는 디지털시스템 구입, 인테리어 및 안전·위생설비 개선 등으로, 환경개선에 따라 소상공인이 부담해야 할 공사비 중 80%, 최대 500만 원을 지원하며 사업 첫해인 올해는...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은 21일(화) 오후 2시 율곡연구원 강당에서 제29기 박물관 강좌 개강식을 개최한다. 앞서 70여명의 수강생 모집을 마쳤으며, 개강식에 이어 오는 28일(화)「강릉의 역사와 옛길」로 박물관 강좌를 시작한다. 강좌는 11월 28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에 진행되며, 풍부한 시청각 강의와 문화유적 및 ...
|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충북도(지사 김영환)가 중대시민재해 ‘0’을 목표로 3월 20일부터 31일까지 2주간 도 소관 구내식당을 순회 지도․자문한다. 이번 지도는 지난 ’23년 2월 7일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14개소의 도 소관 구내식당을 추가 지정하여 충북도의 재해관리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에 따라 기존 461개였던 도 소관 중대재...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누구나 자유롭게 영어를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도시 조성과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영어하기 편한 도시 시민참여단’이 첫 발걸음을 내디딘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산국제교류재단과 함께 오늘(20일) 오후 4시 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영어하기 편한 도시 시민참여단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민참...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청년들의 학업과 취업준비 과정 중 발생하는 갭(Gap) 기간을 도약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해외 갭이어 활동을 지원하는 ‘광주형 청년 갭이어(Gap year, 이하 갭이어) 프로그램’ 참여자 30명을 4월16일까지 모집한다. ‘청년 갭이어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봉사여행, 전문가과정, 한...
|
|
 |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반려가구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펫푸드 및 반려동물 용품 시장규모가 동반 성장하고 있어 도내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체계적인 지원방안 마련에 나섰다. 도내 동물등록 마릿수는 2018년 2만 3,264마리에서 2022년 5만 3,029마리로 2.3배 증가했으며, 관련 업체는 2018년 155개소에서 2022년 302개소...
|
|